화면크기
화면확대
화면축소
상단메뉴
HOME
로그인
회원가입
이용안내
Contact Us
통합검색
카테고리
회원자료실
영양관련정보
국민영양
검색어
검색
사단법인 대한영양사협회
KDA 소개
KDA
소개
전체메뉴 바로가기
대한영양사협회소개
인사말
조직 및 연락처
활동
찾아오시는 길
협회 현황
영양사소개
영양사란
영양사가 되려면
우리나라 영양사 활동
임상영양사
KDA 소식
KDA
소식
전체메뉴 바로가기
공지사항
시도영양사회
시도영양사회 공지사항
시도영양사회게시판
관련기관 소식
학교분과
KDA Gallery
영양사 면허증 재교부
이달의 일정
채용센터
구인
KDA 영양
KDA
영양
전체메뉴 바로가기
영양의 날
개요
자료실
우리 농축수산물소비촉진
개요
자료실
당류·나트륨 저감 홍보
개요
국민건강증진사업
개요
자료실
영양클리닉
관련사이트
국내사이트
외국사이트
외국영양사회
KDA 교육
KDA
교육
전체메뉴 바로가기
교육지원센터
영양사 법정교육
영양사 보수교육
영양사 식품위생교육
교육과정 안내
전문교육과정
직무 교육과정 Ⅰ
직무 교육과정 Ⅱ
온라인 교육과정
교육과정신청
교육과정 신청
교육과정 신청현황
전국영양사 학술대회
학술대회 안내
프로그램
공문다운받기
등록
초록접수
e-Book보기
KDA 출판
KDA
출판
전체메뉴 바로가기
국민영양
국민영양참여
국민영양검색
학술지
학술지규정
학술지검색
학술지검색(e-Book)
학술지 논문투고
교육자료
출판 FAQ
KDA 회원자료실
KDA
회원자료실
전체메뉴 바로가기
자료실
식품영양핫뉴스
급식경영
식단 및 레시피
급식위생
영양교육
임상영양
업무서식
국내외문헌정보
법률정보
정부지침서
영양관련정보
동호회
건강상담영양사
병원영양사
급식전문업체영양사
보건소영양사
사회복지시설영양사
학교영양사
산업체영양사
상담영양사
경찰서·소방서영양사
유치원·어린이집영양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기독영양사
회원게시판
영양사신문고
ABOUT
KDA 소개
대한영양사협회소개
인사말
조직 및 연락처
활동
찾아오시는 길
협회 현황
영양사소개
영양사란
영양사가 되려면
우리나라 영양사 활동
임상영양사
조
직
HOME
KDA 소개
대한영양사협회 소개
조직 및 연락처
임원명단
본회 조직 및 기구
중앙회 사무국
시·도영양사회 사무국
본회조직 및 기구
대의원총회
회장
이사회
특별위원회
상임위원회
운영위원회
인사재정
총무
정책
홍보
사업
학술
교육
분과위원회
산업체분과
병원분과
영양교사분과
학교영양사분과
보건복지시설분과
건강상담분과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분과
윤리위원회
대표자회의
13개지부
서울특별시 영양사회
부산광역시 영양사회
인천광역시 영양사회
경기도 영양사회
강원특별자치도 영양사회
충청북도 영양사회
대전충남세종 영양사회
전북특별자치도 영양사회
광주전남 영양사회
대구경북 영양사회
경상남도 영양사회
울산광역시 영양사회
제주특별자치도 영양사회
사무국
사무총장
조직홍보국
정책국
사업국
교육국
감사
자문
고문
대한영양사협회 조직 변천사
1969년
10.18 한국영양사회 창립
1971년
7.3
직능별 분과 조직 구성
한국병원 영양사회 초대회장 : 송영자
단체급식분과 초대회장 : 박영분
영양개발분과 분과 위원장 : 계성렬
영양연구지도분과 연구분과 위원장 : 조정순
영양연구지도분과 지도분과 위원장 : 봉명숙
서울시 학교급식위원회 초대회장 : 박명숙(1978.11.23)
1973년
11.3 이상돈 사무국장 취임
1974년
5.4
대한영양사회로 명칭 개칭
현 지부 조직의 전신인 지역단위 영양사모임 조직(1974.10.10)
안양지부 (1974.4.10)
경북지부 (1974.10.10)
충청지부 (1977.8.25)
울산지부 (1978.2.3)
마산지부 (1978.11.23)
서울학교분과 (1978.11.23)
수원지부 (1979.9.28)
성남지부 (1979.9.28)
영등포지부 (1981.8.26)
구로지부 (1982.2.13)
부천지부 (1982.4.20)
동부지부 (1982.11.26)
1978년
5.13
조직기틀 마련을 위한 법인설립 허가 : 보건사회부 산하 사단법인
1979년
5.4
회가, 윤리강령 제정공포
지부조직 재정비 및 지부조직체계 마련 : 12개 조직 체계 마련(1984.9.27)
대구·경북지부 (1974.10.10)
광주·전남지부 (1975.9.30)
인천지부 (1976.4.12)
전북지부 (1976.11.02)
부산지부 (1977.10.25)
대전·충남지부 (1979.2.20)
충북지부 (1979.2.20)
강원지부 (1983.6.25)
서울지부 (1985.6.14)
경기지부 (1986.2.15)
제주지부 (1987.8.24)
경남지부 (1987.11.27)
1986년
4.17 중앙회 사무국 조직개편
사무국장 산하 총무부, 사업부, 교육부, 편집부로 개편
1988년
1.14 중앙회 사무국 조직개편
사무국장 산하 부국장, 총무부, 교육 사업부, 편집부로 개편
1989년
1.4 중앙회 사무국 조직개편
사무국장 산하 총무부, 교육 출판부, 사업부로 개편
1990년
1.24 중앙회 사무국 조직개편
사무국장 산하 기획실, 총무부, 교육 출판부, 사업부로 개편
1992년
2.10 중앙회 사무국 조직개편
사무국장 산하 기획실, 총무부, 교육 출판부, 홍보 사업부로 직제 개편
1998년
3.12 울산지부 창립으로 현재
13개지부 산하 39개 분과
49개 분회 조직체계 확립
2000년
9.01 지부 및 분과 명칭 개정
2001년
3.1 중앙회 사무국 조직 개편
사무국장 산하 관리부, 조직 정책부, 사업부로 조직 개편
2002년
3.11 중앙회 사무국 조직 개편
조직정책부를 정책부로 개칭하고, 조직 홍보 업무를 관리부로 이관
2003년
3.24 분과생성
건강상담분과와 급식전문업체분과 신설
3.26 중앙회 사무국 조직 개편
사업부 교육계를 관리부로 이관, 사업부 홍보계 신설
2004년
3.8 분과 명칭 변경
사업체분과를 산업체분과로 명칭을 변경하고, 보건소분과에 사회복지시설 영유아보육시설을 포괄하여 보건복지시설분과로 명칭을 변경
2004년 현재 13개 지부 산하 54개 분과 54개 분회 조직 체계
6.25
영양사 윤리강령 개정
6.25
영양사 선서 개정
8.1 중앙회 사무국 조직 개편
교육국 신설, 정책국, 관리국, 사업국으로 부서 개편
사업부 출판계를 관리국 출판과로,
관리부 교육계를 교육국으로 이관
2005년
1.29 대한영양사협회 입주
대한영양사협회 회관 개관식 개최(2005.2.19)
2007년
3.26 분과 신설
교정분과 신설
2010년
4.22 분과위원회 및 분과위원장 영문 명칭 제정
2011년
3.17 강원지부 조직 개편
5개 분과 3개 분회에서 5개 분과로 개편
2012년
1.17 경남지부 조직 개편
3.15 분과 신설 및 명칭 변경
5개 분과 4개 분회에서 5개 분과로 개편
학교영양사분과를 신설하고 기존 학교영양사분과를 학교영양교사분과로 명칭 변경
2013년
1.31 지부 조직 개편
대전•충남영양사회를 대전•충남•세종영양사회로 변경
2014년
3.20 분과 명칭 변경
4.17 분과 해산
8.19 분야회 신설
학교영양교사분과를 영양교사분과로 변경
급식전문업체분과 해산
교정분과를 산업체분과 교정영양사회로 신설
2015년
3.19 지부 분과 조직 개편
충청남도영양교사분과를 충청남도영양교사분과와 세종특별자치시영양교사분과로, 충청남도학교영양사분과를 충청남도학교영양사분과와 세종특별자치영양교사분과로 개편
9.8 대한영양사협회 신회관 이전
신회관(서울시 여의도동 소재)으로 이전
2016년
3.17 분과 신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분과 신설
2018년
7.1 중앙회 사무국 조직개편
사업국 홍보팀을 관리국으로 이관하고, 관리국을 홍보국으로 개칭
각 부서별 명칭변경
2019년
4.1
영양사신문 발행
10.18
창립 50주년
배너모음
이전배너
일시정지
다음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