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위관 (Nasogastric) |
- 흡인의 위험이 적은 경우
- 식도 역류가 없고 위장관 기능이 정상인 경우
- 단기간의 경관급식이 예상되는 경우
|
Tube의 삽입이 비교적 쉽다 |
- 흡인의 위험이 높다.
- 환자에게 불편감을 준다.
|
비십이지장관 비공장관 (Nasoduodenal Nasojejunal) |
- 흡인의 위험이 높은 경우
- 위무력이나 식도역류가 있는 경우
- 단기간의 경관급식이 예상되는 경우
|
- 흡인의 위험이 적다.
- 수술 과정은 필요치 않으나 비위관 급식(nasogastric)에 비해 관의 삽입이 어렵다
|
- 영양액의 주입속도, 삼투압 농도에 따라 부적응 발생 가능성이 있다.
- 관의 위치 확인을 위해 X-ray 촬영등 검사가 요망될 수 있다.
- 환자에게 불편감을 준다
|
위조루술 (Gastrostomy) |
- 흡인의 위험이 적은 경우
- 식도역류가 없고 위장관 기능이 정상인 경우
- 장기간 급식이 예상되는 환자
- 비강으로 관 삽입이 어려운 경우
|
- 환자의 불편감이 적다.
- PEG*의 경우 수술과정이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시술이 가능하다.
- 수술 과정은 필요치 않으나 비위관 급식(nasogastric)에 비해 관의 삽입이 어렵다
|
- 수술과정을 필요로 한다.
- 관 부위의 감염관리가 필요하다.
- 소화액 유출로 인한 피부의 찰상이 발생된다.
- 관제거 이후 누공이 생길 수 있다.
|
공장조루술 (Jejunostomy) |
- 흡인의 위험이 높은 환자
- 위무력이나 식도역류가 있는 경우
- 장기간의 경관급식이 예상되는 경우
- 상부 위장관으로 관 삽입이 어려운 경우
|
- 흡인의 위험이 적다.
- 환자의 불편감이 적다.
- PEJ**의 경우 수술과정이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시술이 가능하다.
|
- 수술과정을 필요로 한다.
- 관 부위의 감염관리가 필요하다.
- 소화액 유출로 인한 피부의 찰상이 발생된다.
- 관제거 이후 누공이 생길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