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
유아기란
젖을 완전히 뗀 1세경부터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 해당하는 시기이다.
유아의 특성
- 1세경부터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 해당되는 시기
- 두뇌 완성, 신체의 제반 조절기능, 사회 인지능력 발달
- 영아기의 급성장 이후 이 시기에 완만한 성장을 함
- 또래 집단과의 접촉이 많아져서 자신의 주장과 방식대로 하려는 정서적 특징
- 음식에 대한 기호, 식사예절, 위생 습관 등이 형성되는 시기
유아의 신체적 특징
- 신체적 성장
(출처 : 소아표준성장도표 2007년, 대한소아과학회)
- 생후 12개월이 되었을 때의 체중은 출생 시의 3배, 신장은 거의 1.5배가 된다.
- 12개월과 12개월 사이에는 성장속도가 많이 감소해서 평균 신장은 약 10cm 증가하고, 평균체중은 약 25% 증가하며, 그 이후에는 성장속도가 느려진다.
- 2-5세 사이에는 1년에 약 2kg씩 체중이 증가하며, 약 4세에 출생 시 신장의 2배가 된다.
- 6세에는 체격에 성별의 차이가 나타나서 6세의 남자아이는 같은 연령의 여자아이보다 약간 더 크고 무겁다.
- 성장패턴을 한 눈에 파악하기 위해 소아표준성장도표를 이용한다.
유아의 영양권장량
영양소 섭취기준
영양소 섭취기준 |
연령(세) |
체중(kg) |
신장(cm) |
에너지(kcal) |
식이섬유(g) |
단백질(g) |
수분(ml) |
칼슘(mg) |
철(mg) |
EAR |
AI |
EAR |
RI |
AI |
RI |
RI |
1~2 |
12.2 |
86.1 |
1,000 |
10 |
12 |
15 |
1,100 |
500 |
6 |
3~5 |
17.2 |
107 |
1,400 |
15 |
15 |
20 |
1,400 |
600 |
7 |
EAR: 평균필요량, AI: 충분섭취량, RI: 권장섭취량, UL: 상한섭취량
(출처 : 한국인영양섭취기준, 한국영양학회(2010))
유아기의 영양관리
- 유아 간식의 양은 하루 에너지 필요량의 10-15%가 적합하다.
- 유아에게 억지로 먹도록 강요하지 않는다.
- 싫어하는 음식을 먹는 대가를 다른 음식으로 보상하지 않는다.
- 음식을 기분전환이나 달래기 위한 수단, 다른 행동에 대한 보상으로 제공하지 않는다.
- 유아에게 새로운 음식을 소개할 때에는 한 입은 최소한 먹도록 한다.
특히 배가 고픈 시간에 새로운 음식을 소개한다.
- 처음에 많은 양을 주지 말고 일상적으로 먹는 양보다 적게 주고, 더 요구하면 다시 더 주도록 한다.
- 새로운 음식을 받아들이는 데는 같이 먹는 사람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 유아의 식품선택에는 부모의 음식 기호가 큰 영향을 미친다.
- 새로운 음식을 만드는 데에 유아가 참여하도록 한다.
- 유아는 음식의 온도, 맛, 질감, 외관에 대해 매우 까다롭다.
- 유아가 채소 먹기를 싫어하면 좋아하는 음식과 섞거나 또는 향이 좋고 영양가가 있는 양념을 해서 제공한다.
유아의 식사구성안
영유아의 식생활지침
- 생후 6개월까지는 반드시 모유를 먹이자.
- 이유보충식은 성장단계에 맞추어 먹이자.
- 유아의 성장과 식욕에 따라 알맞게 먹이자.
- 곡류, 과일, 채소, 생선, 고기, 유제품 등 다양한 식품을 먹이자.